메뉴 건너뛰기

소식

글 수 1,634
■ 정부는 농민들을 죽음으로 내모는 농업포기정책을 즉각 중단하라! ■

지난 3일 부산에서 노모를 모시고 힘겹게 농사를 짓고 살던 김화수(부산시농민회원, 40)농민이 계속된 장맛비로 짓던 상추농사가 피해를 입었고, 지난 3월 폭설피해를 입었음에도 정부의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아 생긴 농가부채로 인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한국의 농업농촌을 지켜가고자 하였던 농민이 더 이상 농사를 지을 수 없게 되고 삶을 영위하기조차 어려운 상황에서 죽음을 선택한 데 대한 안타까움을 느끼며 동시에 이렇게 만든 장본인은 바로 정부의 개방 농정, 농업포기정책에 있음을 알기에 우리 350만 농민은 분노를 느끼지 않을 수 없다.

정부는 많은 농가의 대규모 피해를 낳는 자연재해에 대한 근본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부산지역은 지난 3월 폭설로 인해 160여 억원의 피해를 입고 농민들은 보상을 수차례 요구해 왔다. 그럼에도 정부는 갈수록 재해의 규모가 커지고 피해액수는 가늠할 수 없을 정도로 불어나고 있음에도 근본적 재해대책 마련은 고사하고 위로금조의 약간의 보조금을 주었지만 이는 피해를 입은 농가에게 세발의 피에 불과한 것이었다.

또한, 정부는 올해 쌀개방을 필두로 하여 WTO DDA 농업협상을 통해 농업분야에서 더 많은 개방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면합의에 얼룩지고 실패한 쌀협상이 국정조사를 통해 드러났고 국회비준이 남아있음에도 개방을 염두해 두고 추곡수매제를 폐지하고 공공비축제를 도입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실패한 쌀협상을 비롯 WTO가 농민을 죽이고 농업농촌은 더 이상 회생할 수 없는 몰락의 길을 갈 것이라고 한국 농민 역사상 한 번도 해 본적 없는 620농민총파업을 통해 경고를 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계속 외면하고 있다.

우리 350만 농민은 오늘 김화수 농민의 죽음 앞에 다시금 정부가 이를 방관한다면 우리 또한 그대로 주저앉아 있을 수 없다는 결의를 밝힌다. 쌀협상 국회비준을 저지시키기 위한 더욱 강력한 농민총파업을 불사할 것이며, 12월 홍콩 WTO 각료회의에 대규모 참가로 반드시 저지시켜내고야 말 것이다.

아울러 김화수 농민의 죽음은 한 개인의 죽음이 아니라 한국 농업이 얼마만큼 절박한 시기에 와있는가를 보여준 것이라 생각한다. 고인의 죽음에 삼가 조의를 표하며 죽음을 헛되지 하지 않기 위해 향후 농업농촌을 회생, 발전시키는데 총력을 다해 싸워 나갈 것을 결의한다.

2005년 7월 5일
전국농민회총연맹 의장 문경식
엮인글 :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파일 첨부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크기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
List of Articles
번호     섬네일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154 성명 [성명서] 정부의 들러리 “양곡정책심의위원회”를 전면 재구성하라! 2005-08-31 1976
153 보도자료 오늘(29일), 외통부앞에서 한-아세안 FTA 반대 농민단체 긴급 기자회견 개최 2005-08-29 4298
152 성명 농림부는 명분 축적용 농민단체 간담회를 앞세워 국회비준을 강요하지 말라 2005-08-29 2033
151 논평 중앙일보는 삶은 소대가리가 웃다 코뚜레가 끊어질 천박한 궤변을 당장 집어치워라 2005-08-18 3743
150 논평 [논평] 정부와 열린우리당은 쌀협상 국회비준에 대한 흥정놀음을 당장 집어치워라! 2005-08-17 3668
149 논평 통일농업 실현의 토대가 마련되는 남북농업협력위원회를 바란다 2005-08-17 3279
148 성명 8.15 사면복권대상에 차량시위 관련 면허취소 농민들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2005-08-10 2748
147 보도자료 74세 농민, 물난리때 북에서 지원받은 쌀 보답으로 쌀 1천가마 북으로 보내 2005-08-09 4291
146 보도자료 전국농민회총연맹 소속 회원 25명 WTO 일반이사회 대응을 위해 제네바로 출국!! 2005-07-27 3871
145 성명 WTO 일반이사회 규탄한다 2005-07-27 2461
위로